(송정섭의 어원칼럼)~por와 ~posto(a)의 어원
2018/10/25 20:20 입력  |  조회수 : 936
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구글+로 기사전송 밴드공유 C로그로 기사전송
송정섭집사1.jpg
송정섭 집사(한포사전 저자)
 
~por와 ~posto(a)는 각각 다른 단어처럼 암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같은 뿌리의 다른 외모일 뿐입니다. ~por는 “놓다, 두다”라는 동사이고, ~posto(a)는 “놓여진” 즉 수동적 의미로 쓰는 형태입니다. 마치 ver(보다)를 visto(a) “보여진”, abrir(열다)를 aberto(a) “열린”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posto de gasolina는 “가솔린이 있는 곳”으로 주유소이고, posto de saúde는 “건강을 돌봐주는 곳”이니 보건소입니다. 이렇듯 어원이 담긴 말(어근)은 항상 또다른 단어들을 파생시킵니다. 예컨데 posição(위치) oposto(반대) proposta(제안) suposto(가정) depósito(저장, 입금) 등 많은 표현들이 posto(a)에 근거한 것들입니다. 또한 por(놓다, 두다)가 com(함께)와 만나면 compor(합성하다)이고 수동형은 composto(합성, 구성, 작곡) 등이 되고, 여기에 사람을 나타내는 ~tor(a)를 붙힌 compositor(a)는 “합성자, 작곡자” 등이 되는 파생 과정과 친해지셔야 합니다. 만약 반대 개념인 “de”를 붙히면 decompor(분해하다)이고, decompositor(a)는 “분해자”로 이해 될 수 있어야겠습니다. 이번에는 “앞으로”의 개념인 “pro”와 por가 만나면 propor(제안하다)이고, 수동형은 proposto(a)로 “제안”입니다. 거래 중 한 쪽에서 가격을 제안하면 다른 쪽에선 contraproposta(역제안)하기도 합니다. 서양 속담에 “Homem propõe, Deus dispõe”란 말이 있는데 “인간은 제안(도모)하고, 하나님은 처리하신다”라는 뜻으로 propor과 dispor의 댓구가 돋보입니다. im(내부, 안)과 por(놓다)인 Impor는 “부과하다, 지우다”이고, imposto는 “세금”으로 많은 세금 용어(IPTU, IPVA, IR, INSS...)들의 머릿 글자가 되었습니다. impostor는 “징수자”인데 실제 뜻은 “사기꾼, 협잡꾼, 속이는 자”를 뜻합니다. 인간들만의 조직인 정부기관(조직) 등의 순기능과 역기능 중 역기능의 폐혜를 단적으로 지적하는 어원이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opor(반대하다) supor(가정하다) transpor(이동하다, 교통) pospor(연기하다) expor(전시하다) 등 다양하며 repor(재배치하다)는 레파토리(reportório)의 어원이기도 합니다.
문의:(11)97119-1463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ammicj@hanmail.net
"남미복음신문" 브라질 유일 한인 기독교 신문(nammicj.net) - copyright ⓒ 남미복음신문.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 많이본기사
  • 화제의 뉴스

화제의 포토

화제의 포토더보기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 남미복음신문(http://nammicj.net) | 창간일 : 2005년 12월 2| 발행인 : 박주성 
    주소 : Rua Guarani, 266 1°andar-Bom Retiro, São Paulo, SP, BRASIL
    기사제보 및 문서선교후원, 광고문의(박주성) : (55-11) 99955-9846 nammicj@hanmail.net
    Copyright ⓒ 2005-2024 nammicj.net All right reserved.
    남미복음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