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목사(사랑의교회 담임)
미국에는 세 사람의 생일을 기념하여 제정한 국경일이 있습니다. 프레지던트데이 (President”s day)이라고 해서 매년 2월 셋째 주 월요일로 지키고 있는데 바로 두 명의 대통령을 기념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초대 대통령인 죠지 와싱턴과 16대 대통령인 아브라함 링컨입니다. 그리고 또 한 사람은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생일로써 매년 1월 15일에 지킵니다. 그런데 이 세 사람 모두의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가 꿈의 사람이었다는 것입니다. 초대 대통령 와싱턴은 미국의 독립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습니다. 그에게는 독립국가에 대한 강렬한 꿈이 있었습니다. 결국 그는 이 지구상에 가장 강력한 국가의 초석을 마련해 놓았습니다. 링컨은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자유에의 꿈을 가진 그는 불가능하게 여겨지던 노예제도를 폐지시켰습니다. 킹 목사는 미국의 흑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사람에게 특히 가난하고 배우지 못하고 소외받고 사는 사람들에게 꿈과 소망을 주었습니다. 특히 그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연설은 세계 최고의 명연설로 지금도 사람들의 가슴에 감동의 물결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인생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똑 같지는 않습니다. 정말로 빈손처럼 허무한 인생을 살다가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참으로 가치 있고 보람된 삶을 살다가 가는 사람이 있습니다. 무슨 차이입니까? 꿈의 차이입니다. 꿈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입니다. 동물은 먹이를 먹고 삽니다. 그러나 사람은 꿈을 먹고 삽니다. 우리가 살아있다는 것은 꿈이 있다는 말과도 같습니다. 그래서 성경은 ‘꿈이 없는 민족은 망한다’고 했습니다. 꿈이 없다는 것은 죽은 것과 같다는 말씀입니다. 지금 우리 사회의 모든 불행은 국민들에게 꿈이 없다는 것입니다. 사람이란 다름 아닌 꿈 때문에 행복해지기도 하고 불행해 지기도 하는 존재입니다. 꿈이 있으면 살고 꿈이 없으면 죽습니다. 그러므로 위대한 꿈을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1. 하나님께서 주신 꿈이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꿈은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꿈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님께서 주시는 꿈과 내가 스스로 갖는 꿈입니다. 전자를 ‘비전’이라 말하고 후자를 ‘망상’이라 합니다. 바울은 1차 선교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제 실라를 데리고 2차 선교여행길에 나섰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아시아에서 복음을 전하려고 문을 두드렸지만 열리지 않았습니다. 힘쓰고 애써보았지만 길이 열리지 않았습니다. 성령께서 막으신 것입니다.(6,7절) 바울은 처음에 성령보다 앞서가려고 한 것입니다. 그러나 몇 번 길이 막히자 겸허히 자신을 내려놓았습니다. 그러자 성령께서 밤에 환상을 보여주었습니다. 9절에 마게도냐인이 나타나 건너와 우리를 도와달라고 손짓을 하는 환상을 보았습니다. 바울은 깨달았습니다. 성령께서 복음의 발걸음을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돌린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바울은 주저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순종했습니다. 자기의 꿈, 아시아에 대한 꿈을 접어두고 하나님의 꿈, 성령의 비전에 순종한 것입니다. “너희 안에 행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자기의 기쁘신 뜻을 위하여 너희로 소원을 두고 행하게 하시나니”(빌2:13) 하나님은 우리에게 소원을 두고 행하십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꿈입니다.
2.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
이사야 6장은 이사야가 하나님께서 주시는 꿈을 받는 장면입니다. 성전에 엎드린 이사야에게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나를 위하여 갈꼬”라는 하나님의 음성이 들렸습니다. 그때 이사야는 즉각적으로 “하나님 제가 여기 있나이다. 저를 보내주시옵소서” 하나님 주신 꿈에 헌신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평생을 그렇게 살았습니다. 이처럼 꿈은 반드시 대가를 지불해야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바울도 하나님이 주신 꿈을 이루기 위하여 수많은 환난을 통과 했습니다. 그러나 어떤 환난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았고 기도를 통해 이루어갔습니다. 그가 마케도냐 사람의 환상을 기도하는 중에 보았고 빌립보로 건너가서도 기도하기 위해 강가로 나갔습니다. 거기서 하나님 예비하신 동역자 루디아를 만났고. 그리고 기도하는 곳에 가다가 점치는 귀신들린 여종을 고쳤습니다. 그 일로 옥에 갇히게 되었고 또한 옥에서 기도하다가 간수장의 가족을 구원 시켰습니다. 이렇게 바울은 보여주신 꿈을 이루기 위하여 혹독한 대가를 치루며 이루어갔습니다.
3. 포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바울의 꿈으로 인하여 빌립보 교회가 탄생하였습니다. 거기에는 바울이 그 어떤 환경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꼭 포기하고 싶을 때가 다가옵니다. 바울에게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바울과 실라는 아무 죄도 없이 죽도록 매를 맞고 감옥에 들어가 발은 쇠사슬에 꽁꽁 묶였습니다. 얼마나 당황했겠습니까? 분명 하나님께서 주신 꿈의 인도가운데 빌립보에 왔는데 이게 웬일인가? 때때로 하나님께서는 꿈을 가진 사람을 시험하십니다. 포기할 만한 상황을 주십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기에서 포기하고 낙심하고 좌절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꿈의 사람은 절대로 어떤 일을 닥쳐도 포기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알기 때문입니다. 포기만 하지 않으면 하나님께서 이루어주신다는 것을 알기에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결론
헬렌 켈러를 아실 것입니다. 보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하고, 말하지도 못했던 그녀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세상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은 시력은 있는데, 꿈이 없는 사람이다.’ 현재만 보고 지금만 보는 사람들이 불쌍하다고 합니다. 오늘에 의해서만 자극을 받는 사람들입니다. 현실에 급급한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내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오늘 당장 필요한 것에만 집착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은 돈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 꿈이 없는 사람입니다. 꿈꾸는 자가 창조적인 사람입니다. 꿈꾸는 자만이 새 역사를 창조합니다. 꿈은 우리의 운명을 바꾸어 주는 강력한 힘입니다.
하나님 주신 꿈으로 위대한 2017년도를 사시기를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