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오륜(三綱五倫) : 세가지의 강령과 다섯가지의 인륜이라는 뜻으로, 유교에서 지켜야 할 도덕지침을 일컫는다.
삼강오륜의 유래는 이렇다. 중국 전한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인 동중서가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을 논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온 것이다. 그리하여 이는 지금도 우리의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의 근본적인 가르침이다.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민족정신에 크게 영향을 끼친 삼강오륜은 국가 기강의 철학이요, 사회 구조의 원리요, 가정 윤리의 근본이다. 삼강이란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사랑의 본보기와 행동의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하는 철학의 정립이다. *군위신강:임금은 신하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덕목이 있게 신하와 백성을 다스려야 하고 신하와 백성은 충성으로 보필 하여야 한다. *부위자강:아버지는 아들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내가 부모에게 효도함으로 내 아들이 또 내게 효도를 하는 것이다. *부위부강:남편은 아내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참으며, 양보하며, 사랑하는 가정을 이루는 것이다. 오륜이란 한 나라의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 남편과 아내, 어른과 아이, 그리고 친구간의 의리를 명시한 국가와 가정과 사회를 운영하는 기본 도덕률이다. *군신유의:임금은 신하와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며, 신하와 백성은 충성으로 보필하여야 한다. *부자유친:부모는 자식을 사랑하여야 하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를 하여야 한다. *부부유별:남편은 바깥일을 보고 아내는 집안일을 본다는 뜻이다. *장유유서:어른과 아이 나이에 따른 사회질서를 정립하는 철학이다. 어른은 젊은이를 사랑하고 젊은이는 어른을 공경하여야 한다. 이는 우리 동양 도덕의 미덕이다. *붕우유신:친구간에 지켜야할 의리와 믿음을 중시하는 것은 극히 아름다운 일이다. 모든 상관관계가 믿음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정립한 철학이다.
세상이 변하여도 교훈의 말씀은 변하지 않나니, 자신의 덕업을 위해서는 물론이요, 자식이 사람된 기본을 갖추도록 교육하는 의도에서 삼강오륜을 가르치고, 그 뜻을새겨야 할것이다.
만성훈장
[출처:www.koreabraz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