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외국민 선거등록이 오는 11월13일부터 시작된다.
재외동포들이 처음 참여하는 선거다.
중앙선관위는 선거법 규정에 따라 오는 11월13일부터 내년 2월11일까지 재외국민 선거 등록을 시작한다고 공고했다.
선관위는 이에 앞서 재외선거 상황실도 설치했다. 10월14일 이래 24시간 가동되고 있는 상황실은 재외선거와 관련된 모든 문의사항을 처리한다.
이번 선거 등록은 내년 4월11일 치러지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서다.
재외동포들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총선에서 선호하는 당에 투표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지역구에는 투표할 수 없다.
지역구 선거는 국내에 거소신고를 한 재외동포에 한해서만 가능하다.
선관위는 재외국민 선거등록을 앞두고 재외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회의도 개최했다.
이 회의에는 세계 158개 공관에서 130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전현직 한인회장이거나 단체장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재외투표소 운영과 투표용지 발급 방법, 선거절차 전반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실습과 더불어 주요 현안에 대한 토론도 이뤄졌다.
“재외선거가 공정하고 깨끗하게 치러지도록 교육을 통해 당부했습니다. 재외선거관리위원장들은 현지 선거사무 책임자거든요”
정훈교 중앙선관위 재외선거기획관이 YTN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말이다.
이들 재외선거관리위원장들의 지휘 아래 오는 13일부터 선거등록이 이뤄진다.
국외 등록자는 두 가지다.
하나는 국외부재자 신고다.
국내에 주민등록을 하거나 국내에 거소신고를 한 19세 이상의 국민으로서 해외에서 투표를 하려는 사람이 대상이다.
이들은 여권사본을 첨부해 공관이나 국내 지자체에 신고서를 내면 된다.
우편으로도 가능하다.
또 하나는 재외선거인 등록신청이다.
재외동포들이 해당된다.
국내에 주민등록이 돼 있지 않고, 국내 거소신고도 돼 있지 않은 19세 이상의 재외국민이다.
이들은 반드시 공관을 찾아가서 신청해야 한다.
우편신청이 안된다.
공관을 찾아갈 때는 공관별로 지정된 서류를 갖춰서 가야 한다.
여권사본과 비자, 영주권증명서, 장기체류증 또는 거주국의 외국인등록증 등 재외선거관리위원회에서 명시한 증명서를 지참해야 한다.
문제는 신청률이 높을까이다.
재외국민들이 총선에 얼마나 관심을 보일지가 관심사다.
재외국민 가운데는 해외공관까지 오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걸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들이 반드시 공관을 찾아서 선거 등록을 하도록 해놓았기 때문에 등록률이 높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
배희철 세계한인유권자총연합회장은 “등록한 사람들만이 투표를 하게 된다. 등록률이 높아야 투표율도 높을 수 있다”면서 “처음 권리를 행사하는 만큼 참여율이 높도록 서로 격려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출처 월드코리안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