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중 선교사(사회학박사,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불평등
Estadão de São Paulo는 2019년 브라질 공화국 선포 130주년을 기념하여 각계 전문가들 53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의 질문을 했습니다. 1) 공화국의 약속이 이루어졌는가? 2) 어떤 가치가 새 공화국 선언에 다시 제시 되어야 하는가? 정치, 경제, 사회영역의 전문가, 지식인들은 지난 한 세기를 돌아보고 더 나은 브라질의 미래를 위해 고민합니다. 브라질의 미래를 위한 첫 번째 가치는 ‘불평등과의 싸움’(combate à desigualdade)입니다. 불평등의 개선은 특권과의 싸움입니다. 27명의 응답자가 ‘특권과의 싸움’(combate aos privilégio)을 15명이 기회의 평등(igualdade de oportunidades), 21명이 법 앞에서 평등(igualdade perante a lei)을 지적했습니다. 불평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요. 뿌리깊은 식민지 시대의 유산입니다. 외부에서 이식된 암세포입니다. 유럽의 정복자들과 가톨릭교회는 이 땅을 ‘개발’이 아니라 ‘착취’의 대상으로 여겼습니다. 사람에게 투자하지 않았습니다. 가능성을 보지 않고 상품성을 보았습니다. 미래를 보지 않고 현재를 보았습니다. 불평등은 사회 곳곳에 뿌리내려 정치, 경제, 사회, 종교 전 영역에서 가진 자와 못 가진자의 구분을 짓고 있습니다.
교육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은 ‘교육’(educação)입니다. 응답자 중 28명이 교육을 공화국의 핵심 가치로 뽑았습니다. 현재 언론, 사회, 정치, 종교계에서 교육 만큼 주목받는 이슈도 없습니다. 꽉 막힌 사회의 천장을 뚫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교육을 통한 ‘개인의 가치’(valor do indivíduo)의 인식개선이기 때문입니다. 교육은 곧 사람에 대한 투자입니다. 브라질의 국가경쟁력은 땅과 자원이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한 사람’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됩니다. 조심스러운 비교지만 한국의 교육시스템이 10명 중 7명을 사회에 필요한 사람으로 만든다면 브라질에서는 단 3명만 그렇습니다. 따라서 설문에서 21명이 자유(liberdade), 14명이 표현의 자유(liberdade de expressão), 공공선의 개선(promoção do bem comum)을 꼽은 것도 한 사람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다행인 것은 브라질의 교육은 지난 몇 십 년간 기회를 확대해 왔습니다. 기초교육(ensino fundamental)은 보편화되고,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에 대한 인식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수준높은 사교육에 비해 질낮은 공교육입니다. 정부는 최소 30년의 계획을 가지고 공교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줄여야 합니다. 소수만 필요한 사회가 아니라 다수가 기여할 수 있는 사회는 교육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민주주의
응답자 중 30명이 ‘민주주의’(democracia)의 개선을 공화국의 가치로 뽑았습니다. 26명이 주 정부의 개혁(reforma do Estado), 18명이 대의정치의 개선(melhorar a representatividade)을 정치의 과제로 지적했습니다. 역사학자 보리스 파우스토(Boris Fausto)는 브라질이 필요한 것은 다툼의 여지가 없는 보편적인 가치를 지닌 어떤 형태의 침식(erosão) 이나 전통적 형태의 공격 특히, 내부로부터 무너지지 않는 ‘안정적인 민주주의’라고 말합니다. 결국 내가 뽑고 세금을 주는 대표가 나의 삶에 도움을 주는 것이 민주주의의 개선입니다. 좋은 정치가는 좋은 시민이 만듭니다. 좋은 정치는 교육받고, 깨어있고, 가능성이 가진 개개인이 모인 시민의 힘이 바꿉니다. 공화국의 가치인 불평등의 개선, 교육, 민주주의는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