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섭의 어원칼럼)amor와 filo의 어원
2019/02/28 22:51 입력  |  조회수 : 902
트위터로 기사전송 페이스북으로 기사전송 구글+로 기사전송 밴드공유 C로그로 기사전송
송정섭집사1.jpg
송정섭 집사(한포사전 저자)
 
amor(사랑)은 라틴어(amórem) 에서 유래했습니다. 관련된 일상 단어들로는 amar(사랑하다) amável(사랑스런) amigo(친구) namorado(애인) amabilidade(우호, 온정) amado, amásio, amante(정부, 간부), amador(아마추어) 등은 같은 어원을 갖습니다. amador은 순수 즐거움을 목적으로 어떤 분야를 사랑하는 “애호가”입니다. 이는 영국의 자본가 계급(gentry)이 일하지 않고 여가 스포츠를 즐겼는데, 노동자출신과 자신들을 구분하려는 의미에서 amador 이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계급의 우월성을 강조하고자 만든 말입니다. 이 아마추어리즘(amadorismo)이 근대 올림픽의 신조로 이어져, 올림픽에서 현재도 프로선수를 배제하는 근거라고 합니다.
 또한 한국에선 화장품 이름으로 아모레(amore)가 있는가 하면, 이태리어로 유명한 “Amore Mio”는 “내사랑”이란 뜻이고 불어인 “Mon Ami(모나미)는 “내친구”라는 뜻인데, 우리에겐 모나미 볼펜으로 더 친근합니다. 정식 브랜드명은 “Mon Ami 153” 입니다. 뒤의 153이란 숫자는 성경에서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지시하여 그물에 잡혔던 물고기의 숫자에 착안하여 붙인 숫자라고 합니다.
 친구나 연인을 뜻하는 “ami, emi, imi”라는 어근에 부정을 뜻하는 접두어 “in”을 붙이면 inimigo(적, 원수, 마귀)가 됩니다. 친구, 연인과 적과 원수는 같은 어원입니다. 사랑하는 중심 (속마음)이 이기(利己) 냐, 이타(利他)냐에 따라 다른 관계(결과)와 마주해야 함을 amor의 어원은 시사하고 있습니다. 
 filo(사랑)은 그리스어 (phileo)에서 유래됐습니다. 관련 어휘로는 필하모니  (filarmônica)는 “음악(하모니)을 애호하다”란 의미이고, filosofia는 지혜(sofia)를 사랑(filho)하는 “철학”이고, filantropia는 인류(antropologia)를 사랑하는 “인류학”입니다. Bibliofilo는 성서(Biblia)를 사랑하는 “성서애호가”입니다. 아들(filho)과 딸(filha)이라는 말은 그 자체가 사랑이란 말인 셈입니다.
문의:(11)97119-1463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ammicj@hanmail.net
"남미복음신문" 브라질 유일 한인 기독교 신문(nammicj.net) - copyright ⓒ 남미복음신문.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댓글달기
  • 많이본기사
  • 화제의 뉴스

화제의 포토

화제의 포토더보기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 남미복음신문(http://nammicj.net) | 창간일 : 2005년 12월 2| 발행인 : 박주성 
    주소 : Rua Guarani, 266 1°andar-Bom Retiro, São Paulo, SP, BRASIL
    기사제보 및 문서선교후원, 광고문의(박주성) : (55-11) 99955-9846 nammicj@hanmail.net
    Copyright ⓒ 2005-2024 nammicj.net All right reserved.
    남미복음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