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지필(董狐之筆) : 동호의 붓, 이라는 뜻으로, 권력을 의식하지 않고 기록을 곧이곧대로 바르게 써서 남기는 것을 의미한다.
춘추시대 진나라의 임금인 영공은 매우 포악 무도한 폭군이었다. 정경인 조순은 임금의 그런 행태를 우려하여 기회가 있을 때마다 조심스럽게 충고하면서 올바른 정사를 펴 나가도록 호소하였는데... 그러한 충정이 오히려 임금의 미움을 사는 빌미가 되고 말았다. 앙심을 품은 영공은 조순을 죽이려고 자객을 보냈다. 그러나 자객은 가까이에서 조순을 본 순간 그 고아한 풍모와 따뜻한 인품에 감명을 받아 감히 어쩌지를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만다. 영공은 이어서 도부수(저격수)를 매복시킨 연회의 자리에 조순을 불러내었다. 그것을 모르고 연회장소로 향하던 조순에게 호위병이 암살계획을 귀띔해주니 조순이 즉시 발길을 돌려 도피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조순이 도망간 사실을 알게된 영공은 크게 노하여 추격대를 풀어 놓았지만, 조순의 덕망이 워낙 높은 터여서 오히려 군병들이 묵인과 보호하는 가운데 국경까지 무사히 달아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영공의 악행은 곧 여기서 종지부를 찍게 된다. 조천이라는 의기 있는 사나이가 불의를 참다 못하여 영공을 시해하고 말았던 것이다. 국경을 막 넘으려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조순은 가슴을 쓸어내리며 급히 도성으로 되돌아왔다. 그런데 사관인 동호가 공식 기록에다 ‘조순이 군주를 시해 하였다’고 적어 놓았다. 깜짝 놀란 조순이 자기의 무고함을 주장하며 동호를 다그치고, 다른 대신들 역시 얼토당토 않는 소리라고 동호를 몰아붙히는데... 동호는 이렇게 반박한다.“물론 정경께서는 임금을 직접 시해하시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건이 벌어졌을 때 국내에 있었고, 조정에 돌아와서 범인을 처벌하려고 하려는 의향 조차 있었습니까? 국가 대임을 맡은 대신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직무를 하지 않았으니, 그것이 직접 시해와 무엇이 다르다는 것입니까?” 그의 날카로운 지적에 조순도 할 말이 없었다고 한다. 훗날 공자는 “동호는 법을 지켜 올곧게 직필 하였으니 훌륭한 사관이었다. 조순도 역시 훌륭한 대신이었으니 법을 바로잡기 위하여 오명을 감수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만성훈장
[출처:www.koreabraz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