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석현 목사(샬롬교회 담임)
[본문 : 요한복음 5:1~18]
유대인의 명절이 되어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올라가셨습니다. 예루살렘 양문 곁에 베데스다라는 연못이 있었습니다. 그곳에 행각 다섯이 있었는데, 그 안에는 병자, 맹인, 다리 저는 사람, 혈기 마른 사람들이 누워서 물의 움직임을 기다렸습니다. 천사가 가끔 와서 물을 움직였는데 그때 들어가면 낫는다는 이야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때 38년 병든 자가 있었는데, 예수님은 그의 병세가 오래된 것임을 아시고 ‘네가 낫고자 하느냐’라고 물으셨습니다. 그때 38년 된 병자는 ‘물이 움직일 때에 나를 못에 넣어주는 사람이 없어서 낫지 못합니다’라고 말합니다. 그에 대해서 예수님께서는 ‘일어나 네 자리를 들어 걸어가라’ 하신, 곧바로 자신의 자리를 들고 일어나 걸어갔습니다. 그때가 마침 안식일어서 유대인들은 그것이 옳지 못하다고 하였습니다. 안식일이기 때문에 병든 사람이 그 상태가 변하면 안되고 그대로 있어야 한다는 이유였습니다.
이 본문에서 38년 된 병자의 태도는 주님께 ‘낫기를 원합니다’라고 하면 되었지만, 그는 주님의 물음에 ‘다른 사람 때문에 낫지 못한다’고 원망을 합니다. 우리 역시 나의 문제가 해결되기를 원하는지를 묻는 주님께 ‘내가 낫기를 원합니다, 내가 해결되기 원합니다’라고 하면 됩니다. 그러나 38년 된 병자처럼 ‘누구 때문에, 무엇 때문에 안된다’라고 원망만 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대인들의 태도를 보면 그들은 사람의 나음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고, 안식일에는 무조건 원래 있던 모습 그대로 있어야 한다는 그릇된 안식일에 대한 해석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이 세우신 안식일에 대한 바른 이해가 없으면, 사람을 비난하게 됩니다. 안식일은 세상의 일을 쉬고 창조주이신 하나님을 예배하는 날이었습니다. 안식일은 그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회복의 날’이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사람을 고치는 행위는 안식일의 의미에 가장 적합하였습니다. 또한 예수님께서 성전에서 그 사람을 다시 만나셨습니다. 그에게 예수님께서는 ‘네가 나았으니 더 심한 것이 생기지 않게 다시는 죄를 범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38년 된 병자의 병의 원인이 ‘죄’로 인한 것이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모든 병이 죄로 인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38년 된 병자의 병은 ‘죄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주님으로 인하여 나음을 입었지만, 다시금 죄를 짓게 되면 그 병이 다시 생길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때로는 질병이나, 문제가 ‘나의 죄로 인하여’ 생기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님 앞에서 나에게 어떤 문제가 생기면 ‘나를 되돌아보는 일’을 먼저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