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섭 집사(한포사전 저자)
‘cand’는 라틴어 (candīdus)에서 유래했고, 의미는 ‘흰, 순수, 솔직, 순백, 백열, 빛남’ 등의 개념입니다. 더러운 곳을 밝고(cand) 깨끗하게 하다는 개념의 cândida(표백제, 세척제), candidez(순백, 청결, 깨끗함, 정직), cândido(순진한, 순수한, 단순한), um olhar cândido(순수한 눈빛, 순진한 시선), candial(흰, 눈송이 같은), trigo candial(눈송이 같은 밀가루, 양질의 밀). 밝게(cand) 불빛(cand)을 내다는 개념의 candente(백열하는, 작열하는, 들끓는, 열광하는), um ferro candente(가열된 철, 불붙는 쇳덩이), candência(백열, 작열, 열렬), candeia(작은 등, 벽걸이 등), candeeiro(램프, 등, 가로등), candeeiro da rua(길거리등, 가로등). 불어 ‘샹들리에’(chandelier, 포어 candelabro, 화려한 장식용 등, cand와 chand는 동일 어원). candidato(입후보자, 지원자), 고대 로마시절 고위 공직 후보자들은 솔직과 정직(cand)을 상징하는 하얀(cand) 옷을 입고 대중 앞에 나섰던 관행에서 유래. candor, candura(솔직, 정직, 담백), 참고로 캔디(candy, 포어 cândi)는 아랍어로 ‘설탕’이란 뜻에서 과자나 사탕으로 발전.
‘cant’의 어원은 라틴어 (cantāre)에서 왔고, 의미는 ‘노래하다, 읊다, 울다’ 등의 개념입니다. 원래 이는 길가의 거지들이 구걸을 위해 위선적으로 반복해서 읊던(cant) 청승맞은 소리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cantar(노래하다), canto, canção(노래, 시가), cantarola(콧노래), cantarolar(콧노래 부르다, 흥얼거리다), cantor, cantorino(남자가수), cantora, cantorina, cantatriz(여가수), cantiga, cantilena(짧은 곡, 소곡, 소가곡), cântico(찬양곡, 찬송가), 칸타타(cantata, 다악장 성악곡), 칸타빌레(cantábile, 노래하듯이) 등은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다’라는 개념. 이태리어(칸쵸네, canzone), 서어(칸시온, cansion), 불어(샹송, chanson), 영어(쏭, song), 포어(깐서웅, canção) 등은 동일 의미. 참고로 뮤직(música)은 ‘뮤즈들의 예술’이란 개념이고, 박물관(museu)은 ‘뮤즈들의 신전’이란 개념. 뮤즈(영어 muse, 포어 musa)란, 그리스 신화에서 ‘시, 음악, 학예’ 등을 주관한 9여신들의 명칭, 이 명칭(musa)에서 유래. 히브리 어원으로는 hino(찬양, 찬송).
문의:(11)97119-1463